□ 심장사상충이란?
 |
 |
심장사상충 감염의 모식도 |
심장사상충의 유충
|
애견의 우심실과 폐동맥
주위에 주로 서식하는 가늘고 흰색의 기생충을 말한다.
형태는 국수가락과 같이 생겼으며 길이는 10 ~ 30Cm 정도이다. 모기가 있는
나라에서 발생하며 모기에 의해서 전염이 되기 때문에 전파속도는 굉장히 빨라서 국내에서도 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.
□
심장사상충의 생활사
- 염된 모기가 물었을 때 애견의 피속으로 심장사상충 새끼벌레가 들어갑니다.
- 새끼벌레는 애견의 피하조직 속에서 자랍니다.
- 혈관과 심장으로 이동하여 어른벌레가 됩니다.
- 암컷벌레는 새끼벌레를 계속 낳는데, 이때는 모기에게 물리면 새끼벌레가 모기로 옮겨집니다.
개에 기생하는 심장사상충은 개 뿐만 아니라 고양이, 여우, 바다표범, 곰, 오랑우탄에게도 기생하며 심지어
사람에게도 기생한다. 사람의 경우는 주로 허파에서 기생하므로 X-ray촬영시 결핵으로 오인하기 쉽다.
개 심장사상충의 중간 숙주는
모기이다. 심장과 대동맥에 기생하는 심장사상충의 성충은 유충을 낳는데, 이 유충은 혈액을 타고 개의 전신을 이동하게 된다. 이 유충을 가지고
있는 개를 모기가 흡혈하면 개의 혈액과 함께 유충이 모기 체내로 유입되어 15 ~ 17일(약 2주간) 모기 몸속에서 성장하게 된다.
이
모기가 또 다시 다른 개를 물을 때 이 성장된 유충은 다시 다른 개로 전파되며, 이 유충은 개에서 85 ~ 120일(약 3 ~ 4개월)동안
생활하면서 성숙하여 성충이 되며, 개에서 이 성충의 수명은 약 5 ~ 6년이며 이 기산 동안 성충의 암컷은 계속하여 유충을 낳아 전염원으로서의
역할을 한다.
□ 심장사상충에 감염이 되면 애견은 어떤 증상을
일으키는가?
- 무증상
- 기침
- 호흡곤란
- 쉽게 피곤해함
- 식욕부진
- 혈뇨
- 복수
- 급사
심장사상충의 성충과 유충 모두 동맥벽의 염증을 유발시키며, 혈관을 막는 역할을 한다.
심장사상충에 의해서 개
심장의 밸브가 열려 있으면, 심장의 펌핑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혈액공급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. 심장 우측의 증대는 폐, 간, 신장의
부종을 야기시킨다.
이와같은 증상에도 불고하고 심장사상충이 감염되었어도 9 ~ 10개월간은 아무런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. 그 후
만성결과를 취하여 위와같이 심장사상충이 역할을 하므로 만성적 기침, 기진맥진, 운동후의 헐떡거림, 복강, 흉강 등에 부종이 나타난다. 임상증상의
정도는 심장사상충 감염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.
□
심장사상충의 진단
동물병원에서 간단한 혈액검사로 심장사상충의
감염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. 최근에 개발된 검사방법을 사용하면 혈액 한 방울만 있으면 5분 안으로 정확하게 검사가
가능하다.
□ 심장사상충에대한 대책
먼저 심장사상충에 감염되었는지의 유무를 동물병원에서 확인을 하고 음성으로 판정이 되면 년중
매달 심장사상충 예방약을 투여한다.
심장사상충에 감염된 것이 확인이 되면 동물병원에서 심장사상충 성충구제를 한 후 매달
심장사상충 예방약을 투여한다.